알콩달콩

직장인 또는 학생이라면 집을 얻을때 대부분 부동산에서

계약을 많이 하게되는데요.

하지만 처음하는 부동산 계약(전세/월세) 어떻게 해야되는지 막막하죠?

부동산 계약시 주의사항 유리한 계약서 쓰는 방법을

하나씩 알고가면 계약서 쓰는데 전혀 어려울게 없답니다.

그럼 초보자가 부동산 계약하는 방법과 준비물에

대해서 한번 알아볼까요?

 

- 부동산 계약시 준비물

세입자 : 도장, 주민등록증,면허증(신분증)

주인 : 도장 , 주민등록증



이런 준비물이 부동산 계약시 기본 준비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혹시 주인이 도장을 들고오지 않아 불안하신 분들도 있을 수 있는데요.

이럴땐 싸인 보다는 지장(지문)이 더 확실하니 위조가 불가능한 지장(지문)을

찍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계약서에 이름은 직접 자필로 서명하는것이 좋습니다.

 

 

- 부동산 계약시 기본적으로 어떤것들을 확인해야 할까?

 

제일 중요한것들은 꼭 확인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중개수수료를 아끼려고 직접 주인과 계약하기보다 조금 비용이 들더라도

부동산을 통해서 계약하는것이 안전합니다. ^^


1. 부동산 표시

주소, 동,호수,용도,면적 등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을 기준으로 작성을 합니다.

 

2. 전세/월세 보증금 금액

일반적으로 전세/월세 보증금 금액은 숫자로 많이 적습니다.

하지만 부동산을 통해서 계약을 할지라도 정말 불안하신 분들은

한글로 한번 더 적어주는것이 좋습니다.

왜냐면 이렇게 하면 위조를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3. 계약금, 중도금, 잔액 지급일.

보통 계약금과 잔금은 한달정도 잡는것이 보통입니다.

이때 계좌이체등을 통해서 계약금, 잔액을 많이 지급하는데

이럴땐 따로 영수증을 보관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계좌이체가 아니라 현금으로 지급할땐 영수증에 사인(도장)을 받아서

직접 보관을 해야 문제가 없습니다.

 

4. 특약사항

부동산 계약시 특약사항 굉장히 중요합니다.

법적으로도 이 특약사항이 우선순위가 되기때문인데요.

그래서 혹시나 생길 수 있는 문제 발생소지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특약사항에 모두 적어주는게 좋습니다.

관리비, 도배,장판,수리등 부동산 계약시 협의하에

모두 계약서 서류에 적어놓아야 딴소리를 안합니다. ^^

 

마지막으로 임대인,임차인, 중개업자의 연락처 이름은 모두 맞는지

직접 확인하는것이 좋습니다.

부동산 중개업소의 경우 무등록업체는 아닌지 등록번호/사업자번호등을

확인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가장 중요한것만 다시 한번 짚어보자면 부동산물건주소, 계약금액,

입주날짜 임대인/임차인 신상정보, 전화번호, 부동산 중개업자 확인

이러한 것들을 잘 확인하는것이 제일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