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콩달콩

세금하면 많은 분들이 조금이라도 덜내고 싶은 마음이 가장 큰 부분인데요.

세금~~ 피할 수 없으면? 잘 알아야 한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정말 피할 수 없는 세금 오늘은 상속세, 과세표준, 세율

그리고 누진공제 금액에 대해서 잠깐 알려드리겠습니다.

 

 

상속세 세율구간은 10% ~ 50%까지 구간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과세표준    /     세 율     /    누진공제

1억원이하       10%             0원

5억원이하       20%            1000만원

10억원이하      30%            6000만원

30억원이하      40%           1억 6000만원

30억원초과      50%           4억 6천만원

 

 

상속세세율 대부분의 상속세는 5억원이하가 제일 많이 차지하고있는데요.

최고 30억원을 넘는 상속세율의 경우 50%넘어간다고 하니 정말 세금을

납부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굉장히 아까운 마음이 들수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상속세(세금), 세율, 과세표준은 보니까 알겠는데 어떻게 계산해야 할지

모르시겠다고요?

상속세(세금) 세율,누진공제 금액등을 적용해서 직접 한번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들어 상속받는 재산의 과세표준이 3억이 된다면

1. 1억까지는 상속세세율이 10% 적용하기 때문에

1억까지는 10%의 상속세율을 적용하여 1천만원이 됩니다.

 

그리고 나머지 2억에 대해서 1-3억원의 상속세율 20% 적용하여

4천만원의 상속세가 발생합니다.

 

그러면 1억원구간 10%상속세율 = 1천만원 +

1-3억구간 2억원 20%상속세율   = 4천만원 2개를 더하면 총 5천만원이 됩니다.

상속세(세율, 과세표준) 계산이 이렇게 된다는 설명을 드린거고요.

 

더욱 알기쉽게 상속세 계산을 한다면

5억원 이하는 상속세율 20%니까 상속재산이 3억원이라면

(3억 * 20%) - 공제금액(1천만원) = 5천만원이 됩니다.

직접 예를들어 계산해 보니까 어렵지 않죠?

 

방금 위에 계산한것과 같은 결과의 금액이 나옵니다.

하나는 이해를 돕기위해 설명을 드렸고 하나는 간단히 상속세 계산하는 방법으로

쉽게 알려드린 겁니다.

상속세(세율, 누진공제, , 과세표준)세금계산 참 쉽죠???

이제부터 간단한 상속세 세금계산은 직접하시기 바랍니다.

당연히 복잡한 부분은 세무사와 상담하는게 제일 빠르고 정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