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콩달콩

요즘 현대인들에게 보험이라고 하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수 있는 필수품이 아닌가 생각되는데요.

하지만 보험료 인하 소식보다는 뉴스에서 매년 보험회사의

보험료 인상소식을 들으면 좋지만은 않은것 같습니다.

과연 보험회사의 보험료 인상은 어떤이유에서 발생이 될까?

오늘은 보험료 인상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험료 인상 이유 1.

보험은 확률로 판매하는 상품인데요.

무슨 말이냐 하면 내가 가입한 보험이 보험회사에서 보험금을 지급할

확률이 높으면 보험회사의 보험료가 비싸지고 질병, 사고로 부터

보험금을 받을 확률이 낮다면 매월 납입하는 보험료는 낮아집니다.

보험회사에서는 보험가입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를 운용하여

수익을 가지고 회사를 운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익을 낼 수 있는 기간, 보험금 지급 확률이

작은 보험상품 일수록 보험료가 저렴합니다.

간단하죠?

이정도는 보험 상식으로 알고계시면 앞으로 도움이 많이 되실겁니다.

 

보험료를 결정짓는 또 다른 이유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험료 인상 이유 2.

보험료는 예정이율이라는것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정이율이란 한마디로 정리해보자면 보험가입자로부터 보험금을 받아서

보험회사가 얼만큼의 이익을 낼 수 있는가 예상이율이라고 보면되는데요.

보험회사의 예정이율이 높아지면 보험료는 내려가고 보험회사의

예정이율이 낮아지면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또한 예정이율이라는 것은 시중금리와 연관되어서 움직이는데요.

고금리, 저금리에 따라서 약간씩 변동이 됩니다.

 

예정이율은 4월과 10월 에 새롭게 평가 산정을 하는데 이때를 기준으로

보험회사의 보험료가 인상, 인하되기 때문에 신규로 보험에

가입하는 고객이라면 이러한 변화를 잘 체크해보는것이 좋습니다.

 

보험회사에서 왜 보험료 인상, 인하하는지 이제는 조금은 이해가시나요?

경제.금융 상식은 아는것이 힘이기 때문에 하나씩 하나씩 공부하시면

앞으로 재테크에도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