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콩달콩

과세표준이라는 것에 따라서 나라에 내야하는 세율이 달라지는데요.

즉 산출 세액을 어떻게 내느냐에 따라서 납부할 세금의 금액이 달라집니다.

 

연말정산 할때 과세표준에 의한 세금이 얼마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연말정산 과세표준에 의한 납부 세금에 대해서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세표준에 연봉에 따른 세금 계산방법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한번 따라해 보시기 바랍니다. ^^

 

그럼 먼저 연말정산 과세표준 부터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잘 보이시나요?

간단히 정리해보자면 과세표준 * 세율 = 납부할 세금이 됩니다.

 

구간별로 세율이 다른데요.

정부에서는 국민소득에 따른 과세표준의 형평성을 맞추고자

이렇게 정했다고 합니다.

 

1200만원 이하 (6%) / 4600만원 이하(15%) / 8800만원 이하(24%)

1억 5000만원 이하 (35%) / 5억원 이하(38%) / 5억원 초과 (40%) 세율 입니다.

 

납부해야할 세금 (산출세액)은 세액공제한후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 계산을 합니다.

 

연봉 8천만원을 예를 들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세액공제는 1천만원을 받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럼 산출세액 납부할 세금은 7천만원에 대하여 계산하면 됩니다.

 

총 7000만원 중 구간별로 금액을 빼주면 됩니다.

 

1200 * 0.6 = 52만원

3600 * 0.15 = 540만원

2400 * 0.24 = 576만원

 

납부할 세금은 총 1168만원 입니다.

 

1200+3600+2400 = 7000만원에 대해서 산출세액을 계산한 금액입니다.

 

연봉 7000만원을 각 구간별 산출세액에 세율을 곱한 겁니다.

 

연말정산시 과세표준에 의한 산출세액(세율)계산 어렵지 않죠?

보통세무사에도 많이 위임을 하지만 경제상식으로

이정도 계산방법은 알고계시면 앞으로도 생활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